1. 긴급생계지원금이란?
긴급생계지원금은 갑작스러운 실직, 휴·폐업, 중대한 질병, 사고, 화재, 가정폭력, 이혼, 사망 등으로 생계가 어려워진 저소득 가구에게 신속하게 최소한의 생계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보건복지부와 각 지자체가 단기적인 안전망으로 운영하고 있어, 위기상황에 맞춰 긴급히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.
2. 지원 대상 기준
위기 상황 발생 요건 (예시)
- 주소득자 실직, 휴·폐업 등으로 소득 상실
- 중한 질병 또는 부상
- 가정폭력, 방임, 학대
- 화재·자연재해
- 주소득자 사망, 가출, 이혼 등 가구 붕괴
소득·재산 기준
- 소득: 기준 중위소득의 75% 이하
- 1인 가구: 1,794,010원
- 4인 가구: 4,573,330원
- 재산: 보건복지부 지정 재산 기준(일반+금융재산 등 포함)
3. 2025년 지원 금액 및 기간
생계지원 금액 (가구원수 기준)
2025년 긴급생계지원금은 아래와 같으며, 매년 고시로 변동될 수 있으니 보건복지부 공고 확인 필수입니다.

지원 기간
- 최대 3개월까지 지원 가능하며, 필요시 1개월 단위로 연장됩니다 (총 최대 6개월)
4. 신청 방법 및 절차
- 신청 및 상담
-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
- 보건복지상담센터(☎ 129) 또는 동 주민센터 전화 상담
- 현장 조사
- 담당 공무원이 가구 상황과 위기 요건을 확인
- 지원 결정 및 지급
- 지원 결정 후 신속한 현금 지급 또는 현물(현금, 주거·의료비 등) 지원
- 사후 조사 및 심의
- 지원 후 적정성 심사, 위원회 결정, 부적정 시 환수 조치 가능
- 1년 또는 6개월 재신청 제한 등 일정 기간 재지원 제한 규정 적용
5. 신청 시 필요한 서류
- 신청서류: 지자체 제공
- 주민등록등본, 소득·재산 증명서류 (건강보험료 납부내역 등)
- 위기에 대한 입증자료: 실직 확인서, 진단서, 체납 고지서 등
- 현물지원 시 추가서류: 난방비 쿠폰 발급 내역 등
6. 자주 묻는 질문(Q&A)
Q1. 다른 복지 제도와 중복 수급 가능한가요?
- 긴급생계지원은 일시적인 성격이라 일부 중복이 가능하지만, 사전 상담이 필요합니다
Q2. 재신청은 언제 가능한가요?
- 동일 위기 요인 시: 1년 후
- 다른 위기 요인 시: 6개월 후 가능
Q3. 외국인도 신청할 수 있나요?
- 국민과 혼인, 난민 인정, 천재지변 피해 등 특정 요건 충족 시 신청 가능
7. 꼭 기억하세요!
- 지원 대상: 위기 상황 발생 + 소득·재산 기준 충족
- 지원 금액: 가구 기준 67만~211만 원 (2025년 고시 기준)
- 지원 기간: 기본 3개월, 심의로 최대 6개월까지 가능
-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또는 전화 상담 후 서류 제출
8.마무리하며
갑작스러운 실직이나 질병, 예상치 못한 위기 상황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습니다. 그 누구도 복지의 사각지대에서 소외되어서는 안 됩니다.
긴급생계지원금은 그런 어려움에 처한 분들에게 잠시 숨을 고를 수 있는 시간을 드리기 위한 제도입니다. 혹시 주변에 힘들어 보이는 이웃이나 가족이 있다면, 이 정보를 꼭 나눠주세요. 당신의 따뜻한 관심이, 누군가의 삶을 지켜낼 수 있습니다. 함께 사는 사회, 함께 나누는 복지.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는 도움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.
꼭 필요한 분들이 제도를 알고, 신청하고,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함께 해주시길 바랍니다.
'정보를 한번에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머리가 아플 땐? 두통 위치로 의심 질환과 관련 병원은 어디로? 진료과는? (0) | 2025.07.02 |
---|---|
2025년 양육비 선지급 제도 시행 신청방법 및 조건 정리 (0) | 2025.07.01 |
2025년 복날 날짜와 추천음식! 삼계탕과 잘 어울리는 식재료와 맞지 않는 재료는? (0) | 2025.06.28 |
2025년 민생회복지원금 신청하세요. 신청은 여기서 바로! 지급 일정까지 한번에 해결하기! (0) | 2025.06.26 |
2025년 경기도 청년 면접 수당 지금 여기서 신청하세요.(신청 방법, 지급 방식) (0) | 2025.06.26 |
발바닥·발목,발등 통증, 참지 마세요! 원인부터 치료까지 총정리 (아치깔창 정보, 아치형태 신발 추천) (0) | 2025.06.25 |
배 아플 때 통증 위치에 따른 원인과 관련 질환, 어디가 문제일까? (0) | 2025.06.24 |
출산 육아 정책 바뀐다고? 2025년 출산 육아 지원 정책 알아보세요. (1) | 2025.06.23 |